본문 바로가기
K-Life Korean/Korean Grammar

영어 현재완료와 한국어 과거 시제의 차이: ‘살았어요‘는 왜 어색할까?

by asiamedwife 2025. 4. 21.

 

영어 현재완료와 한국어 과거 시제의 차이 1

 

1. 들어가며: 왜 ‘살았어요’가 어색할까?

 

많은 학습자들이 영어의 “I have lived in Seoul for 5 years.”를 한국어로 번역할 때, “저는 서울에 5년 동안 살았어요.”라고 합니다. 그런데 원어민에게는 이 표현이 어색하게 들릴 수 있습니다. 왜 그럴까요?

 

그 이유는 영어의 현재완료와 한국어의 과거 시제가 동일한 의미로 쓰이지 않기 때문입니다. 이번 글에서는 두 언어의 시제 차이를 비교하고, 더 자연스러운 한국어 표현을 찾아보겠습니다.

2. 영어 현재완료: 과거부터 지금까지 이어진 상태

영어의 현재완료(have + past participle)는 과거부터 지금까지 이어지는 상태를 말합니다.

 

예를 들어, “I have lived in Seoul for 5 years”는 지금도 여전히 서울에 살고 있다는 뜻입니다. 현재완료는 과거의 경험이나 지속적인 상태를 표현합니다. 즉, 과거에 일어난 일이 현재에 영향을 미친다고 강조합니다.

  • 예: “I have lived in Seoul for 5 years” → 서울에 계속 살고 있음
  • 예: “I have visited Japan” → 일본을 방문한 적 있음

3. 한국어의 과거 시제: 이미 끝난 느낌

반면, 한국어에서 과거 시제는 이미 끝난 상태를 표현합니다. 예를 들어, “저는 서울에 5년 동안 살았어요”는 지금은 서울에 살지 않는다는 의미가 됩니다. 즉, ‘살았어요’는 과거의 경험을 나타내고, 그 상태가 이미 끝났다는 느낌을 줍니다. 한국어에는 영어처럼 과거와 현재를 연결하는 현재완료 시제가 없습니다. 대신, 문맥에 따라 의미를 전달합니다.

 

 

영어 현재완료와 한국어 과거 시제의 차이 2

 

4. 자연스러운 표현: 현재까지 계속 살고 있다면?

 

현재까지 계속 서울에 살고 있다는 의미를 원한다면, “서울에 5년째 살고 있어요” 또는 “5년째 서울에 살고 있어요”라고 말해야 합니다. 이 표현은 지속적인 상태를 강조하며, 영어의 현재완료와 잘 맞습니다.

  • 예: 영어 “I have worked here for 10 years” → 한국어 “저는 여기서 10년 동안 일하고 있어요”
  • 예: 영어 “I have known him since childhood” → 한국어 “저는 그를 어릴 때부터 알고 지냈어요"

5. 학습자에게 이렇게 설명하세요

한국어에는 영어처럼 현재완료를 구별하는 시제가 없습니다. 대신, 문맥 동사의 선택을 통해 현재와 과거를 구별합니다.

 

예를 들어:

  • “살았어요”는 과거의 경험을 나타냅니다.
  • “살고 있어요”는 현재 상태를 나타냅니다.
  • “5년째 살고 있어요”는 상태의 지속을 강조합니다.

 

 

영어 현재완료와 한국어 과거 시제의 차이 3

 

 

6. 마무리: 시제보다 상태와 지속성에 집중하기

영어에서 현재완료는 과거와 현재를 연결하는 중요한 시제입니다. 반면, 한국어에서는 문맥과 동사에 따라 과거 경험과 현재 상태를 구별합니다. 기계적으로 시제를 대응시키기보다는, 각 언어가 상태와 지속성을 어떻게 표현하는지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영어와 한국어의 시제 차이를 이해하면, 더 자연스럽고 정확한 표현을 할 수 있습니다.

 

 
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!